AI 네비게이션(AI Navigation)
AI 네비게이션(AI Navigation)은 인공지능이 게임이나 시뮬레이션 등 가상 환경에서 이동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기술.
주로 3D 게임에서 캐릭터나 NPC가 지능적으로 이동하도록 만들어진다.
이를 위해 AI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지형, 장애물, 목표 지점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경로를 생성하고 이동하는데 사용
- Navigation Mesh (네비게이션 매쉬):
- 3D 공간을 그리드로 나누어 이동 가능한 지역과 장애물이 있는 지역을 구분하는 매쉬.
- 캐릭터가 이동할 수 있는 영역과 이동할 수 없는 영역을 정의하고, 이를 기반으로 경로를 계산.
- Pathfinding (경로 탐색):
- 캐릭터의 현재 위치에서 목표 지점까지 가장 적절한 경로를 찾는 알고리즘.
- 주로 A* 알고리즘 등이 사용되며, 지정된 목표 위치까지 최단 경로를 탐색.
- Steering Behavior (스티어링 동작):
- 캐릭터나 NPC가 경로를 따라 이동할 때, 보다 자연스러운 동작을 구현하는데 사용.
- 동적으로 캐릭터의 이동 방향과 속력을 조정하여 부드럽고 현실적인 이동을 시뮬레이션 한다.
- Obstacle Avoidance (장애물 피하기):
- 캐릭터가 이동 중에 장애물과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.
- 각종 센서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장애물을 감지하고 피하는 동작을 수행.
- Local Avoidance (근접 회피):
- 여러 캐릭터나 NPC가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.
- 캐릭터들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거나 회피 동작을 수행하여 서로 부딪히지 않도록 한다.
포스트 프로세싱
Post-Processing은 Unity나 다른 게임 엔진에서 화면에 렌더링된 이미지에 추가적인 효과를 적용하는 기술.
이 기술을 사용하여 게임 화면에 색상 보정, 블러 효과, 광학 효과 등을 적용하여 시각적으로 더 흥미로운 그래픽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.
- 색상 보정 및 색감 필터링: 화면에 특정 색조, 채도, 밝기 등의 보정을 적용하여 화면의 색상을 조작할 수 있다.
- 블러 효과: 게임 화면에 블러 효과를 적용하여 광학적 흐림, 광학 흐림, 도형 흐림 등을 구현할 수 있다.
- 선 처리 및 톤 매핑: 경계선 처리, 윤곽선 강조, 톤 매핑 등을 적용하여 게임 화면을 더 생동감 있게 만들 수 있다.
- 광학 효과: 렌즈 반사, 빛 착란, 먼지 효과 등을 추가하여 게임 화면에 현실적인 광학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.
- 사용자 정의 효과: Unity의 포스트 프로세싱 스택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쉐이더 코드를 작성하여 원하는 효과를 만들어 적용할 수도 있다.
- https://docs.unity3d.com/kr/2021.3/Manual/PostProcessingOverview.html
'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1.03 (TIL-Unity) (2) | 2024.01.03 |
---|---|
01.02 (TIL-Unity) (1) | 2024.01.02 |
12.28 (TIL-Unity3D) (1) | 2023.12.28 |
12.27 (TIL-Unity3D) (0) | 2023.12.27 |
12.26 (TIL-Unity3D) (0) | 2023.12.26 |